본문 바로가기

Bible 창세기

창세기 9장 -하나님의 언약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창세기 9장의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홍수가 끝난 후 노아의 나머지 생의 이야기입니다

 

 하나님이 노아와 그 아들들에게 복을 주며 말했습니다. "자녀를 낳고 번성하여 땅에 가득하여라. 땅의 모든 짐승과 공중의 모든 새들과 땅에 기는 모든 것과 바다의 모든 물고기가 너희를 두려워하며 무서워할 것이다. 너희가 이것들을 책임지고 돌보아라. 살아있는 모든 동물이 너희의 양식이 될 것이다. 이전에 내가 채소를 양식으로 주었듯이 이제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양식으로 준다. 그러나 고기는 먹되 생명인 피가 들어 있는 채로 먹지 말아라. 생명인 피를 흘리게 하는 자에게는 내가 반드시 갚아 줄 것이다 짐승이든 사람이든 피를 흘리게 하는 자에게는 내가 반드시 갚아 줄 것이다. 다른 사람의 피를 흘리게 하는 자는 그 자신도 피 흘림을 당할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지어 본성을 드러내게 했기 때문이라. 너희는 좋은 결실을 맺고 번성하여라. 이 땅에 생명이 가득하게 하고 풍성하게 누리며 살아라."

 

 하나님이 노나와 그의 아들들에게 말했습니다. "내가 너희와 너희의 뒤에 올 후손과 너희와 함께 한 모든 생물 곧 너희와 함게 한 새와 짐승과 땅의 모든 생물과도 언약을 맺을 것이다. 내가 너희와 언약을 맺어 다시는 살아 있는 모든 것을 홍수로 멸망시키지 않을 것이다. 다시는 홍수로 땅을 멸망시키지 않을 것이다."

 

 하나님이 말했습니다.  "내가 너희와 너희와 함께하는 모든 생물 사이에 대대로 영원히 세우는 언약의 증거는 이것이다. 내가 무지개를 구름 사이에 두었으니 이것이 나와 세상 사이의 언약의 증거이다. 구름 사이로 무지개가 나타날 때마다 내가 그것을 보고 나 하나님이 살아 있는 모든 것  곧 땅 위의 살아 있는 모든 것과 맺은 영원한 언약을 기억할 것이다."

 

 하나님이 노아에게 말했습니다. " 내가 나와 땅 위의 살아 있는 모든 것 사이에 맺은 언약의 증거가 이것이다."

 

 배에서 나온 노아의 아들들은 셈과 함과 야벳이었습니다. 함은 가나안의 조상이 되었습니다. 노아의 이 세아들로부터 온 땅은 사람들이 북적이게 되었습니다.

 

 노아는 농사를 시작하여 포도나무를 심었습니다. 그가 포도주를 마시고 취하여 그 장막 안에거 벌거벗은 채 자고 있었습니다. 가나안의 조상인 함이 그의 아버지의 벌거벗은 모습을 보고 밖으로 나가 그의 두 형제에게 알렸습니다. 셈과 야벳은 겉옷을 가져다가 어깨에 걸치고 뒷걸음질해 들어가서 아버지의 벌거벗은 몸을 가렸습니다. 그들은 아버지의 벌거벗은 몸을 보지 않으려고 얼굴을 돌렸습니다. 노아가 술에서 깨어나 작은아들이 자신에게 행한 일을 알고 말했습니다. "가나안은 저주를 받아라. 자기 형제들의 종이 되리라. 셈의 하나님 찬양을 받으소서. 그러나 가나안은 그의 종이 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하나님이 야벳을 번성하게 하고 셈의 장막에서 넉넉하게 살게 하시리라. 그러나 가나안은 그의 종이 되리라."

 

 노아는 홍수가 있은 뒤에 350년을 더 살았다. 그의 나이가 950년이 되던해에 죽었습니다.

 

 여기까지가 창세기 9장의 내용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무지개의 등장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무지개가 어떻게 생기는 지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찾아보았습니다. 무지개가 만들어지려면 먼저 빗방울이 있어야 합니다. 대기 중에서 수증기가 응축하여 작은 물방울이 형성되고 이것이 떨어지게 됩니다. 비가 내리고 있는 동안 태양이 비를 비추게 되면 태양으로부터 나온 광선이 빗방울에 닿게 됩니다. 광선이 빗방울에 닿게 되면 빛은 빗방울 안에서 굴절됩니다. 이는 빛이 다양한 색상으로 분해되는 과정입니다. 빗방울 내부에서 굴절된 빛은 반사되어 빗방울의 반대쪽으로 이동합니다. 빛이 빗방울에서 나오면서 분해된 다양한 색상들이 하나로 재조합됩니다. 이것이 무지개입니다. 그런데 이런 무지개에 관한 이야기가 성경에서 언약의 징표로 나타나 있다니 다소 흥미롭습니다. 

 그리고 함은 왜 아버지의 허물을 감추지 않았나에 대한 의문이 있었습니다. 여기 저기 찾아봐도 정확한 답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함의 행동으로 인해 가나안은 저주를 받습니다. 가나안의 국가에 대해서 궁금해서 이 것도 찾아보았습니다. 가나안이 노예나라였다는 주장은 역사적으로 정확하지 않습니다. 가나안은 고대 중동의 지역 이름으로, 이 지역에 사는 다양한 문명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나안 전체가 단일한 국가나 제국으로 통치되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대신, 이 지역에는 다양한 도시국가와 왕국이 존재했으며, 서로 다른 문화와 정치 체계를 가졌습니다.

노예제도는 고대 문명에서 흔히 존재했지만,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국한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고대 중동의 다양한 문명들은 노예노동을 일정한 정도로 사용했지만, 이는 모든 문명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것입니다.

노아의 아들 함과 관련하여 성경에서는 그의 후손들에게 종족적인 저주를 내린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것은 특정 지역이나 나라에 대한 것이 아니라 그의 자손들의 특정 행동에 대한 결과로 받아들여집니다. 따라서 성경에 따르면 가나안은 특별히 노예나라로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창세기 10장을 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