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사사기 12장을 보겠습니다.
에브라임 사람들이 모여 북쪽으로 가서 입다에게 말했습니다. “네가 암몬 사람들과 싸우러 건너갈 때, 어찌하여 우리를 불러 너와 함께 가게 하지 않았느냐? 우리가 반드시 너와 네 집을 불사르겠다!” 그러자 입다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나와 내 백성이 암몬 사람들과 크게 싸울 때, 내가 너희를 불렀으나 너희가 나를 그들의 손에서 구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는 너희가 도와주지 않는 것을 보고 내 목숨을 돌보지 않고 건너가 암몬 사람들과 싸웠고, 여호와께서 그들을 내 손에 넘겨주셨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오늘 너희가 올라와 나와 싸우려 하느냐?”
입다는 길르앗 사람들을 모두 모아 에브라임과 싸웠습니다. 길르앗 사람들이 에브라임을 쳐서 무찔렀는데, 이는 에브라임 사람들이 “너희 길르앗 사람들은 본래 에브라임에서 도망한 자들이며, 에브라임과 므낫세 사이에 속한 자들이다”라고 말했기 때문입니다. 길르앗 사람들은 에브라임 사람들보다 먼저 요단 강 나루턱을 장악했습니다. 에브라임 사람들이 도망하며 “청하건대 나를 건너가게 해 달라”라고 말하면, 길르앗 사람들이 그에게 물었습니다. “너는 에브라임 사람이냐?” 그가 만일 “아니다”라고 대답하면, 길르앗 사람들이 그에게 “쉽볼렛”이라고 발음하라고 시켰습니다. 그러나 에브라임 사람들은 “십볼렛”이라고 정확히 발음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면 길르앗 사람들이 그를 잡아 요단 강 나루턱에서 죽였습니다. 그때 에브라임 사람들의 죽은 자는 4만 2천 명에 달했습니다.
입다가 이스라엘의 사사로 6년 동안 다스렸습니다. 길르앗 사람 입다가 죽자, 그는 길르앗에 있는 자신의 성읍에 묻혔습니다.
그 뒤를 이어 베들레헴의 입산이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아들 30명과 딸 30명을 두었는데, 그의 딸들은 외지로 시집보냈고, 아들들을 위해서는 외지에서 여자 30명을 데려왔습니다. 입산은 이스라엘의 사사로 7년 동안 다스렸습니다. 입산이 죽자 그는 베들레헴에 묻혔습니다.
그 뒤를 이어 스불론 사람 엘론이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어 10년 동안 이스라엘을 다스렸습니다. 스불론 사람 엘론이 죽자, 그는 스불론 땅 아얄론에 묻혔습니다.
그 뒤를 이어 비라돈 사람 힐렐의 아들 압돈이 이스라엘의 사사가 되었습니다. 그는 아들 40명과 손자 30명을 두었고, 그들은 어린 나귀 70마리를 탔습니다. 압돈은 이스라엘의 사사로 8년 동안 다스렸습니다. 비라돈 사람 힐렐의 아들 압돈이 죽자, 그는 에브라임 땅 아말렉 사람의 산지 비라돈에 묻혔습니다.
여기까지가 사사기 12장의 내용입니다.
사사기 12장은 입다와 에브라임 사람들 사이의 갈등, 이스라엘 사사들의 지도력 교체, 그리고 당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 분열과 갈등의 위험
- 입다와 에브라임 사람들의 갈등
에브라임 사람들은 입다가 암몬 사람들과 싸울 때 자신들을 부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분노하며 갈등을 일으켰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입다는 도움을 요청했으나 에브라임 사람들이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이스라엘 내부에서 큰 분쟁과 살육이 일어났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공동체 안에서 오해와 갈등이 생겼을 때, 이를 바로잡고 해결하지 않으면 큰 분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자존심과 오만이 결합되면 갈등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실천: 오해가 생겼을 때는 즉시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겸손한 태도가 필요합니다.
2. 자존심과 교만의 위험성
- 에브라임 사람들의 자존심
에브라임 사람들은 자신들이 이스라엘의 중심부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입다를 경시하며 갈등을 키웠습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는 비극이 발생했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자존심과 교만은 개인이나 공동체를 파괴로 이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진정한 관계를 원한다면, 상대를 존중하고 협력하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실천: 내 자존심 때문에 갈등을 키우지 않도록, 항상 상대방의 입장을 생각하며 행동합시다.
3.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라
- 쉽볼렛과 십볼렛의 이야기
길르앗 사람들은 에브라임 사람을 구별하기 위해 발음 차이를 이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에브라임 사람들이 대거 죽임을 당하는 비극이 벌어졌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언어나 문화의 차이가 갈등과 배제를 초래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는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고, 다양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실천: 다른 배경과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소통할 때, 편견 없이 이해하려는 자세를 가지세요.
4. 지도자의 책임과 역할
- 입다의 사사직과 후계자들
입다와 그의 후계자들은 각기 다른 배경과 방식을 통해 이스라엘을 다스렸습니다. 특히 입다의 지도력은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내부 갈등을 해결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남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지도자는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며, 공동체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실천: 우리가 리더의 역할을 맡게 된다면, 소통과 화합에 힘쓰며 책임감 있게 행동합시다.
5. 삶의 순환과 다음 세대에 대한 준비
- 사사들의 교체
입다 이후 입산, 엘론, 압돈과 같은 사사들이 차례로 등장하며 이스라엘을 이끌었습니다. 이는 세대의 교체와 지도력의 순환을 보여줍니다. - 오늘날의 교훈
삶은 계속해서 순환합니다. 우리는 현재의 역할을 다하면서도,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그들에게 본이 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실천: 우리의 경험과 지혜를 다음 세대와 나누고, 그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태도를 가지세요.
6. 공동체 안에서의 연합의 중요성
- 이스라엘의 내부 분열
내부 분열은 외부의 적보다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에브라임과 길르앗 사이의 갈등은 이스라엘 공동체에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공동체 안에서 협력과 연합이 없으면 큰 위기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우리 각자는 하나 됨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실천: 내가 속한 가정, 직장, 사회에서 하나 됨과 화합을 이루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작은 행동부터 시작하세요.
마무리
사사기 12장은 갈등과 자존심, 그리고 소통 부재가 얼마나 큰 비극을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이야기를 통해 화합, 존중, 그리고 책임감 있는 행동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사사기 13장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Bible 사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사기 14장 - 삼손과 딤나의 여자 (1) | 2024.12.22 |
---|---|
사사기 13장 - 삼손이 태어나다 (0) | 2024.12.21 |
사사기 11장 - 입다의 딸 (1) | 2024.12.20 |
사사기 10장 - 사사 돌라, 사사 야일, 사사 입다 (0) | 2024.12.19 |
사사기 9장 - 아비멜렉 (1)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