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신명기 3장을 보겠습니다.
우리는 다시 길을 돌려 바산으로 올라갔습니다. 그때 바산 왕 옥이 그의 모든 백성을 이끌고 나와서 에드레이에서 우리와 싸우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여호와께서 나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를 두려워하지 말아라. 내가 그와 그의 모든 백성, 그리고 그의 땅을 너희 손에 넘겼다. 너희가 전에 헤스본의 아모리 족속 왕 시혼에게 했던 것과 똑같이 그에게도 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바산 왕 옥과 그의 모든 백성을 우리 손에 넘기셨습니다. 우리는 그들을 모두 쳐서 한 명도 남기지 않고 진멸했습니다. 그때 우리는 그들이 가지고 있던 모든 성읍을 다 빼앗았는데, 그 성읍들은 모두 60개나 되었습니다. 이 성읍들은 아르곱 지방에 속한 바산 왕 옥의 나라에 있었으며, 모든 성읍은 높은 성벽과 문, 빗장으로 견고하게 지켜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성벽이 없는 작은 마을들도 많았습니다.
우리는 전에 헤스본 왕 시혼에게 했던 것처럼, 그 성읍들을 모두 멸망시켰습니다. 각 성읍의 남자, 여자, 어린아이까지 모두 진멸했으나, 가축과 성읍에서 얻은 전리품은 우리의 소유로 삼았습니다. 그때 우리는 요단 강 동쪽에 있는 땅을, 아르논 골짜기에서부터 헤르몬 산까지 모두 아모리 족속의 두 왕에게서 빼앗았습니다. (참고로, 헤르몬 산을 시돈 사람들은 '시룐'이라고 부르고, 아모리 족속은 '스닐'이라고 불렀습니다.)
우리가 빼앗은 땅은 평원에 있는 모든 성읍과 길르앗 땅, 바산 땅, 바산 왕 옥이 다스리던 성읍인 살르가와 에드레이까지 포함되었습니다. (르바임 족속의 마지막 남은 자는 바산 왕 옥뿐이었으며, 그의 철로 된 침상은 아직도 암몬 족속의 랍바에 있는데, 그것의 크기는 보통 사람 기준으로 길이가 약 4미터, 너비가 약 1.8미터나 됩니다.)
그때 우리는 그 땅을 차지했습니다. 아르논 골짜기 근처의 아로엘에서부터 길르앗 산지의 절반과 그 성읍들을 내가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에게 주었습니다. 그리고 길르앗의 나머지 땅과 바산 왕 옥의 나라였던 아르곱 지역, 즉 바산 전체를 나는 므낫세 지파의 반쪽에게 주었습니다. (바산은 예전에는 '르바임의 땅'이라고 불렸습니다. 므낫세의 아들 야일이 그술 족속과 마아갓 족속의 경계까지 아르곱 지역을 점령한 후, 그곳을 자기 이름을 따서 '하봇야일'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나는 마길에게 길르앗을 주었고,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에게는 길르앗에서 아르논 골짜기까지 주었습니다. 그 골짜기의 중앙을 경계로 삼았고, 그 땅은 암몬 족속의 지역인 얍복 강까지 이어졌습니다. 또한 아라바 지역과 요단 강을 경계로, 긴네렛 호수에서 아라바 바다(즉, 염해)까지 동쪽의 모든 지역을 그들에게 주었습니다.
그때 나는 여러분에게 이렇게 명령했습니다. "여러분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땅을 여러분에게 주셔서 여러분의 소유가 되었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모든 군인들은 전투 준비를 하고, 여러분의 형제인 이스라엘 백성의 선봉이 되어 그들을 이끌어십시오. 나는 여러분이 가축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으니, 여러분의 아내와 자녀들, 가축들은 내가 여러분에게 준 성읍에 남아 있게 하십시오. 여호와께서 여러분에게 주신 것처럼, 여러분의 형제들에게도 하나님이 안식을 주실 것입니다. 그들이 요단 강 건너편에서 여호와께서 주신 땅을 차지하게 되면, 그때 여러분은 각자 내가 준 땅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때 여호수아에게 이렇게 명령했습니다.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두 왕에게 하신 일을 네 눈으로 보았다. 여호와께서는 앞으로 네가 가는 모든 나라에도 똑같이 하실 것이다. 그들을 두려워하지 말라.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친히 너희를 위해 싸우실 것이다."
그때 나는 여호와께 이렇게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주 여호와여, 주님께서 주의 크심과 권능을 저에게 보여주기 시작하셨습니다. 하늘과 땅 어디에도 주님처럼 큰 일을 행하시는 신이 어디 있겠습니까? 간절히 구하오니, 저를 요단 강을 건너가게 하셔서 그 건너편에 있는 아름다운 땅과 산, 그리고 레바논을 보게 해 주십시오."
그러나 여호와께서는 여러분 때문에 나에게 화가 나셔서 내 말을 듣지 않으시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만하면 충분하다. 이 일에 대해 더 이상 나에게 말하지 말아라. 너는 비스가 산 꼭대기에 올라가서 동쪽, 서쪽, 남쪽, 북쪽을 모두 바라보아라. 네 눈으로 그 땅을 보되, 너는 이 요단 강을 건너지 못할 것이다. 대신, 여호수아에게 명령을 주어라. 그를 격려하고 담대하게 만들어라. 그가 이 백성을 이끌고 요단을 건너가서 네가 본 그 땅을 그들에게 기업으로 주게 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때 벳브올 맞은편 골짜기에서 머물렀습니다.
여기까지가 민수기 3장의 내용입니다.
신명기 3장은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의 광야 여정과 요단 강 동쪽에서 일어난 전투들을 회상하면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주신 승리와 땅의 분배에 대해 설명하는 장입니다. 또한, 모세가 요단 강을 건너 약속의 땅에 들어가는 것을 간구하지만,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여호수아에게 그 역할을 물려주라고 명령하시는 장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장을 통해 우리는 오늘날 신앙생활에서 중요한 몇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신뢰와 순종
- 본문의 내용: 모세는 바산 왕 옥과의 전투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한 것을 설명하며, 이 승리가 하나님의 인도하심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합니다. 이스라엘은 아모리와 바산 왕국을 모두 점령하고, 그 땅을 두 지파 반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며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우리는 우리의 삶에서 하나님의 계획과 뜻을 신뢰하고 순종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향한 계획을 가지고 계시며, 우리가 그분의 말씀을 따라 순종할 때, 그분의 인도하심과 보호하심을 경험하게 됩니다. 때로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이 있더라도, 하나님의 계획이 가장 최선임을 믿고 따라야 합니다.
2. 겸손과 하나님의 주권 인정
- 본문의 내용: 모세는 하나님께 요단 강을 건너가게 해달라고 간구하지만, 하나님은 모세에게 그 땅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모세는 그 명령을 받아들이고, 대신 여호수아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어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게 하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모세는 자신이 아닌 여호수아를 통해 하나님의 계획이 이루어지도록 순종했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우리는 우리의 인생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인정하고, 그분의 뜻이 우리의 계획보다 더 우선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때로는 우리가 원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가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더 큰 계획을 가지고 계십니다. 우리는 그분의 뜻에 겸손히 순종하고, 그분이 정하신 리더십과 역할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3. 세대 간의 리더십 계승과 격려
- 본문의 내용: 하나님은 모세에게 여호수아를 세워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게 하라고 명령하십니다. 모세는 여호수아를 격려하고, 그를 강하고 담대하게 만들어 이스라엘을 약속의 땅으로 이끌도록 준비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모세에게 주셨던 것과 같은 인도와 보호를 약속하십니다.
- 오늘날의 교훈: 우리는 리더십의 계승과 후세대를 준비시키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하나님은 한 세대의 지도자를 통해 일하시지만, 그 지도자가 떠날 때 새로운 지도자를 세우십니다. 우리는 다음 세대에게 믿음을 전수하고, 그들이 하나님께서 주신 소명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도해야 합니다. 이는 가정, 교회, 사회에서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4. 하나님께서 싸우시는 전쟁
- 본문의 내용: 하나님은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에게 담대하라고 하시며, 그들이 앞으로 직면할 전쟁에서도 하나님께서 직접 싸우실 것이라고 약속하셨습니다. 바산 왕 옥과의 전투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한 것도 하나님의 인도하심 덕분이었으며, 앞으로의 전투에서도 하나님이 그들을 위해 싸우실 것을 보장하셨습니다.
- 오늘날의 교훈: 우리의 인생에서도 여러 어려움과 도전이 있지만, 우리는 그 싸움을 홀로 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대신하여 싸우시는 분이십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의지하고 그분께 우리의 어려움과 싸움을 맡겨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싸우실 때, 우리는 그분의 승리를 경험하게 됩니다.
5. 하나님의 은혜와 그분의 뜻에 순종하는 믿음
- 본문의 내용: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을 받아들이며, 그가 약속의 땅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사실을 수용합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여호수아를 통해 그분의 약속을 이루실 것임을 믿고, 하나님의 은혜를 인정합니다.
- 오늘날의 교훈: 우리는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우리의 삶에서 모든 일이 우리가 기대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하나님의 선하심과 은혜를 믿고 그분의 뜻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하나님의 계획이 이루어지며, 그분의 은혜가 우리를 인도하심을 신뢰해야 합니다.
결론
신명기 3장은 하나님의 주권, 승리, 리더십 계승, 그리고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우리는 이 장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 삶을 어떻게 인도하시는지, 또한 우리가 그분의 계획에 어떻게 응답해야 하는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고, 겸손하게 순종하며, 하나님께서 싸우시는 전쟁을 믿고 그분의 뜻을 받아들이는 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입니다.
'Bible 신명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명기 6장 - 여호와의 명령과 규례와 법도, 불순종에 대한 경고 (0) | 2024.09.28 |
---|---|
신명기 5장 - 십계명 (1) | 2024.09.27 |
신명기 4장 - 하나님의 율법과 언약: 순종과 축복의 길 (0) | 2024.09.26 |
신명기 2장 - 이스라엘이 헤스본 왕 시혼을 치다 (0) | 2024.09.23 |
신명기 1장 - 이스라엘의 불순종과 하나님의 인도하심 (0)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