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ble 민수기

민수기 35장 - 레위 사람에게 준 성읍, 도피성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민수기 35장을 보겠습니다.

 

 

 여호와께서 여리고 맞은편, 요단강 가 모압 평지에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에게 명령하여, 그들이 각자 받은 땅에서 레위인들이 거주할 수 있도록 성읍들을 주어라. 또한 그 성읍들을 둘러싼 초원(들판)도 함께 주어, 레위인들이 그곳에서 살 수 있게 하고, 그들의 가축과 재산을 보관할 수 있는 장소로 사용하게 하여라.

 

 너희가 레위인에게 줄 성읍의 들판은 성벽에서 바깥쪽으로 사방 1,000 규빗(약 450미터)이 된다. 성읍을 중심으로 하고, 성 밖으로 동쪽 2,000 규빗(약 900미터), 남쪽 2,000 규빗, 서쪽 2,000 규빗, 북쪽 2,000 규빗까지 측량하여 그들의 들판으로 삼아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레위인에게 총 48개의 성읍을 줄 것이며, 그중 6개 성읍은 살인자가 피신할 수 있는 도피성으로 삼고, 나머지 42개 성읍은 일반 성읍으로 할 것이다. 너희가 이스라엘 자손의 땅에서 레위인에게 성읍을 줄 때, 땅을 많이 받은 사람에게서는 많이 떼어 주고, 적게 받은 사람에게서는 적게 떼어 주어라. 각자의 받은 땅에 따라 레위인에게 성읍을 나누어 주어야 한다."

 

 여호와께서 다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이렇게 전하여라. '너희가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 땅에 들어가게 되면, 너희를 위해 도피성으로 사용할 성읍들을 정하여라. 이는 실수로 사람을 죽인 사람이 그곳으로 피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피성은 복수하려는 자로부터 피신할 수 있는 장소가 되어, 살인자가 회중 앞에서 재판을 받기 전까지 죽임을 당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너희가 줄 성읍 중 여섯 개를 도피성으로 정해라. 이 중 세 성읍은 요단강 이쪽에 두고, 나머지 세 성읍은 가나안 땅에 두어 도피성이 되게 하여라. 이 여섯 개의 도피성은 이스라엘 백성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가운데 사는 외국인과 이방인 모두가 실수로 사람을 죽였을 때 피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가 될 것이다.

 

 만약 철 도구로 사람을 쳐서 죽게 했다면, 그 사람은 살인자다. 그 살인자는 반드시 처벌받아 죽어야 한다. 만약 사람을 죽일 수 있는 큰 돌을 손에 들고 사람을 쳐서 죽였다면, 그 사람도 살인자다. 그 살인자도 반드시 처벌받아 죽어야 한다. 만약 사람을 죽일 수 있는 나무 도구를 들고 사람을 쳐서 죽였다면, 그 사람 역시 살인자다. 그 살인자도 반드시 죽여야 한다.

'피를 보복하는 자'(가까운 친척이 살해당한 사람을 대신하여 복수하는 자)는 그 살인자를 직접 처벌할 수 있다. 그 살인자를 만나면 죽여야 한다.

 

만약 어떤 사람이 누군가를 미워하는 마음으로 밀쳐 죽이거나, 기회를 엿봐서 무엇을 던져서 죽였거나, 악의를 가지고 손으로 때려죽였다면, 그 사람은 살인한 것이므로 반드시 처벌받아야 한다. '피를 보복하는 자'는 살인자를 만나면 처벌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누군가를 죽이려는 의도 없이 실수로 밀치거나, 우연히 어떤 물건을 던졌거나, 미처 보지 못한 채로 사람을 죽일만한 큰 돌을 던져 죽였을 경우에는, 그 사람에게는 악의가 없고 해치려 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 경우 회중이 친 자와 '피를 보복하는 자' 사이에서 이 규정에 따라 재판을 해야 한다. 만약 무죄로 판결되면, 회중은 그 사람을 '피를 보복하는 자'의 손에서 보호하여 그가 도망쳤던 도피성으로 돌아가도록 해야 합니다. 그는 그곳에서 기름부음을 받은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머물러야 한다.

 

 그러나 실수로 사람을 죽인 살인자가 도피성 안에 피신해 있다가 그 경계 밖으로 나가면, '피를 보복하는 자'가 도피성 경계 밖에서 그 살인자를 만나 죽여도 죄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살인자는 대제사장이 죽을 때까지 도피성 안에 머물러야 하기 때문이다. 대제사장이 죽은 후에는 그 살인자는 자기 소유의 땅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것은 너희가 사는 모든 세대 동안 지켜야 할 규칙이다. 사람을 죽인 자, 즉 살인자는 반드시 여러 증인의 증언을 통해 판결해야 한다. 한 명의 증인만으로는 그를 죽일 수 없다. 고의로 살인한 사람에게는 생명의 대가를 대신 받을 수 없으며, 그 사람은 반드시 처벌받아야 한다. 또한, 도피성으로 도망친 사람에게도 대제사장이 죽기 전에는 어떤 대가를 받고 그를 다시 그의 땅으로 돌려보내서는 안 된다.

 

너희는 너희가 사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사람의 피를 흘리는 것은 땅을 더럽히기 때문이다. 피 흘림으로 더러워진 땅은 그 피를 흘린 사람의 피가 아니면 정결하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너희는 내가 너희와 함께 거주하는 땅, 곧 내가 있는 그 땅을 더럽히지 말라. 나 여호와는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에 있다.'"

 

 여기까지가 민수기 35장의 내용입니다.

 

 민수기 35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 정착하면서 지켜야 할 법률과 규정, 특히 도피성 제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도피성 제도는 의도치 않게 살인한 사람들을 보호하고, 의도적으로 살인을 저지른 사람을 처벌하는 규정입니다. 이 장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교훈과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아래에서 민수기 35장을 통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점들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정의와 공의의 중요성

  • 본문의 내용: 하나님께서는 도피성 제도를 통해 의도적으로 살인한 자와 실수로 사람을 죽인 자를 구별하여 공정하게 다루도록 명령하셨습니다. 고의로 사람을 죽인 자는 반드시 처벌받아야 하지만, 의도치 않게 사람을 죽인 자는 도피성에서 보호를 받도록 하셨습니다.
  • 오늘날 배울 점: 우리도 정의와 공의를 중요시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가해지는 부당한 대우나 억울함을 피하고, 공정한 판단과 정의로운 처벌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하나님은 공의로우신 분이시며, 우리도 그분의 성품을 닮아가야 합니다. 이는 사회적 정의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관계에서도 진실과 공정함을 추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2. 자비와 보호의 원칙

  • 본문의 내용: 도피성은 실수로 사람을 죽인 이들이 보복을 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장소였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자비와 보호의 뜻을 반영합니다. 하나님은 불의하게 죽임을 당하지 않도록 보호하시면서, 도피성에 피신한 사람이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있게 하셨습니다.
  • 오늘날 배울 점: 우리는 자비와 보호의 원칙을 이해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실수로 인한 잘못에 대해 공정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배려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또한, 그들이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의 사회와 공동체에서도 이러한 자비와 보호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3. 하나님의 법을 지키는 것의 중요성

  • 본문의 내용: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해 도피성의 규정을 명확히 주셨고, 그 규정이 세대마다 지켜져야 한다고 명령하셨습니다. 도피성에서 머물러야 하는 조건, 그리고 의도적인 살인에 대한 규정이 분명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 오늘날 배울 점: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과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법은 우리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하는 지침이며, 우리를 보호하고 축복하기 위한 것입니다. 하나님의 법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신앙과 삶에서 중요한 우선순위가 되어야 합니다.

4. 공정한 재판과 다수의 증인의 중요성

  • 본문의 내용: 사람을 죽인 자를 처벌할 때는 반드시 여러 명의 증인의 증언이 있어야 하며, 단 한 명의 증언만으로는 살인자를 처벌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공정한 재판을 보장하고, 억울한 희생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 오늘날 배울 점: 공정한 재판과 다수의 증언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판단할 때 충분한 증거와 여러 사람의 증언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이는 개인의 판단뿐만 아니라 사회적, 법적 판단에서도 중요한 원칙입니다. 우리는 경솔하게 결론을 내리지 말고, 공정하고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5. 생명과 피의 중요성

  • 본문의 내용: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너희가 거주하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피는 땅을 더럽힌다. 피 흘림을 받은 땅은 그 피를 흘리게 한 자의 피가 아니면 정결해질 수 없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생명과 피가 매우 중요하며, 생명을 함부로 다루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오늘날 배울 점: 우리는 생명의 소중함을 깨달아야 합니다. 모든 생명은 하나님께로부터 왔으며, 우리는 그것을 존중하고 보호해야 합니다. 우리의 행동과 결정에서 생명을 경시하지 않고, 모든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생명의 존엄성을 이해하고, 그것을 보호하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6. 회복과 갱생의 기회 제공

  • 본문의 내용: 도피성에 피한 자는 대제사장이 죽기 전까지 그곳에 머물러야 하지만, 대제사장이 죽은 후에는 자기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이는 죄를 지은 사람에게도 회복과 갱생의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 오늘날 배울 점: 우리는 다른 사람들에게 회복과 새 출발의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수를 하거나 잘못을 저지른 사람에게도 용서와 회복의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는 그들이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반영하는 것입니다.

7. 하나님의 임재와 거룩함 유지

  • 본문의 내용: 하나님은 “너희가 거주하는 땅, 곧 내가 거주하는 땅을 더럽히지 말라. 나 여호와는 이스라엘 자손 중에 있음이니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그들의 땅 가운데 거하신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그 땅이 거룩하게 유지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 오늘날 배울 점: 우리는 하나님의 임재를 의식하며 거룩함을 유지해야 합니다. 우리의 삶과 행동에서 하나님의 거룩함을 반영하고, 우리가 있는 곳을 정결하고 거룩하게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기억하며, 그분의 뜻에 따라 살아가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민수기 35장은 공의와 자비, 생명의 존엄성, 하나님의 법 준수, 그리고 회복의 기회를 강조하는 중요한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정의와 사랑, 그리고 거룩함을 배우고, 우리의 삶에 적용해야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민수기 36장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