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ble 민수기

민수기 32장 - 요단 강 동쪽 지파들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민수기 32장을 보겠습니다.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은 아주 많은 가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야셀과 길르앗 땅을 보니 가축을 키우기에 좋은 곳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과 이스라엘 회중의 지도자들에게 와서 말했습니다.

 "아다롯과 디본과 야셀과 니므라와 헤스본과 엘르알레와 스밤과 느봄과 브온, 곧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회중 앞에서 멸망시킨 그 땅은  가축을 키우기에 좋습니다. 당신의 종들에게는 가축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계속해서 말했습니다. "만약 저희가 당신께 은혜를 입었다면, 그 땅을 저희의 소유지로 주십시오. 그리고 저희를  요단강을 건너지 않게 해 주십시오."

 모세가 갓 자손들과 르우벤 자손들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의 형제들이 전쟁에 나가 싸우는데, 당신들은 여기서 편히 쉬겠다는 것입니까? 당신들은 왜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을 약하게 만들어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주신 땅으로 건너가지 못하게 하려 하십니까? 당신들의 조상들도 내가 그들을 가데스바네아에서 그 땅을 살펴보라고 보냈을 때, 당신들의 조상들이 한 행동과 같습니다. 그들은 에스골 골짜기까지 올라가서 그 땅을 보고는 이스라엘 백성의 마음을 약하게 만들어 여호와께서 그들에게 주신 그 땅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했었습니다. 그래서 그날 여호와께서 그날 진노하셔서 맹세하시면서 말씀하셨습니다. '이집트에서 나온 이스라엘 백성 중 20세 이상 된 사람들 중에는 여호수아와 갈렙 외에는 내가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에게 맹세한 약속의 땅을 보지 못할 것이다. 이것은 그들이 나를 온전히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직 그나스 사람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만은 예외로 그들은 온전히 여호와를 따랐기 때문이다'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진노하셔서 여호와의 눈앞에서 악을 행한 그 세대가 전부 죽기까지 40년 동안 광야에서 방황하게 하셨습니다.  그런데 죄인의 자식들인 당신들이 조상의 대를 이어서 이스라엘을 향한 여호와의 진노가 더 심해지게 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신들이 다시 한번 여호와를 따르지 않는다면, 여호와께서는 이 백성을 더 오래 광야에 버려두실 것입니다. 그러면 너희는 당신들은 이스라엘 모든 백성에게 멸망글 가져다주게 될 것입니다."

 그러자 르우벤 자손과 갓 자손 사람들이 모세에게 다가와 말했습니다. "우리는 여기에 우리 가축을 위한 울타리를 만들고, 우리 아이들을 위한 성읍을 세우겠습니다. 이 땅의 거주자들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안전한 성읍에서 머물게 한 후에 우리는 무장하고 이스라엘 백성들보다 앞서 나가 그들을 그곳으로 데리고 가겠습니다. 우리는 모든 이스라엘 자손들이 각자 자기 유산을 받을 때까지, 우리 집으로 돌아오지 않겠습니다. 우리는 요단 강 동쪽에서 유산을 받았습니다. 그러므로 더 이상 그들과 함께 요단 강 저쪽에서 유산을 받지 않겠습니다."

 그러자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이  만약 이 일을 하겠다면 그리고 여호와 앞에서 싸우러 나가겠다면, 무장한 당신들 모두가 여호와 앞에서 요단 강을 건너서 모든 적들을 무찌르고 그 땅을 여호와 앞에 복종하게 한다면 당신들은 돌아올 수 있고 여호와와 이스라엘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땅은 여호와 앞에서 당신들의 소유가 될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당신들이 이렇게 하지 않는 다면 여호와께 죄를 짓는 것이 될 것입니다. 당신들의 죄가 당신들에게 돌아올 것을 알아야 합니다. 당신들은 어린아이들을 위하여 성읍을 건축하고 가축들을 위해 우리를 만드십시오. 그리고 당신들의 입으로 말한 대로 실행하십시오." 

 갓 자손들과 르우벤 자손들이 모세에게 말했습니다. "주의 종들인 우리는 주님의 명령을 따르겠습니다. 우리 아이들과 아내들과 양 떼와 모든 가축들은 이곳 길르앗의 성읍들에 두겠습니다. 당신의 종들은 모두 우리 주게서 말씀하신 대로 무장을 하고 여호와 앞에서 강을 건너가서 싸울 것입니다." 그러자 모세는 제사장 엘르아살과 여호수아, 이스라엘 지파의 수장들에게 명령하였습니다.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만약 갓 자손들과 르우벤 자손들이 모두 무장한 상태로 여호와 앞에서 당신들과 함께 싸우기 위해 요단강을 건너가서 그 땅을 정복한다면 당신들은 그들에게 길르앗 땅을 그들의 소유로 주십시오.  그러나 만약 그들이 무장한 상태로 당신들과 함께 건너지 않는다면, 그들은 가나안 땅에서 당신들과 함께 소유를 얻어야 할 것입니다."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대답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당신의 종들에게 명령하신 대로 우리가 할 것입니다. 우리는 무장한 채로 여호와 앞에서 가나안 땅으로 건너가겠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유산으로 얻는 땅은 요단 강 이쪽 이 될 것입니다." 모세는 갓 지파와 르우벤 지파, 그리고 요셉의 아들 므낫세 반 지파에게 아모리 왕 시혼의 나라와 바산 왕 옥의 나라를 주었습니다. 이 지역은 그들의 성읍과 주변의 땅을 포함한 것입니다.

 갓 자손은 디본고 아다롯과 아로엘과 아라롯 소반과 야셀과 욕브하와 그리고 벧이므라와 벧하란 등의 견고한 성읍을 건축하였고 가축들을 위한 우리도 세웠습니다. 르우벤 자손은 헤스본과 알르알레와 기랴다임을 건축하고  또 느보, 바알므온(이들 중 몇은 이름이 변경됨), 그리고 십마를 건축했습니다. 그들은 새로 건축한 성읍에 다른 이름을 붙였습니다.

 므낫세의 아들 마길의 자손들은 길르앗으로 가서 그곳을 정복하고, 거기 있는 아모리 사람들을 쫓아냈습니다. 그래서 모세는 므낫세의 아들 마길에게 주고, 그는 그곳에 정착했습니다. 므낫세의 아들 야일은 가서 그들의 작은 성읍들을 점령하고, 그 성읍들을 하봇야일이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노바는 그와 같은 방식으로 그낫과 그 주변 마을들을 점령하고, 그 지역을 자신의 이름을 따서 '노바'라 불렀습니다.

 

 여기까지가 민수기 32장의 내용입니다.

 

민수기 32장은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가 요단강 동쪽 땅을 요구하는 장면과, 이들의 요청에 대한 모세의 반응과 지침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배워야 할 몇 가지 중요한 교훈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책임 있는 선택과 공동체의 중요성

  • 책임 있는 선택: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는 요단강 동쪽에 있는 길르앗 땅이 가축을 키우기에 좋다는 이유로 그 땅을 소유지로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모세는 그들이 이스라엘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전쟁에 참여하지 않고 편히 쉬려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그들의 요청에 반대했습니다. 이에 두 지파는 자신들이 무장하여 전쟁에 참여한 후, 그 땅을 소유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 오늘날의 적용: 우리는 개인적인 선택을 할 때, 그 선택이 공동체와 주변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우리의 선택이 책임 있는 선택인지, 공동체의 유익을 고려하는지, 또는 이기적인 동기에서 나온 것인지 점검해야 합니다.
  • 공동체와 연대의 중요성: 이스라엘 공동체는 하나의 큰 가족처럼 모든 지파가 서로를 위해 싸우고 협력해야 했습니다. 모세는 두 지파가 다른 지파들과 함께 싸우지 않고 그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려 한다면, 공동체 전체의 사기를 저하시킬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 오늘날의 적용: 우리도 우리의 가족, 교회, 직장, 그리고 사회에서 공동체와 연대하여 협력해야 합니다.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헌신하고,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책임을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서로를 지원하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해야 합니다.

2.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과 신뢰

  • 하나님께 대한 순종: 모세는 두 지파가 자신들의 이익만을 생각하며 하나님께서 가나안 땅으로 이끄시는 계획을 따르지 않으려 한다고 우려했습니다. 이들은 결국 모세와의 대화 후에 자신들이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 전쟁에 나서겠다고 약속함으로써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 오늘날의 적용: 우리는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의 중요성을 배워야 합니다. 하나님의 계획은 우리의 계획보다 항상 크고 완벽하며, 우리는 그분의 뜻에 순종함으로써 우리의 삶이 복되게 될 것임을 신뢰해야 합니다. 때로는 우리의 계획이 좋아 보이더라도, 하나님의 뜻을 먼저 구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약속을 지키는 신실함

  • 약속의 중요성: 두 지파는 모세와 이스라엘 지도자들 앞에서 전쟁에 참여하고 나서야 요단강 동쪽 땅을 소유하겠다는 약속을 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약속을 지켜야 했고, 이를 통해 공동체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 오늘날의 적용: 우리는 약속을 신중히 하고, 한 번 한 약속은 반드시 지키는 신실한 사람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의 말과 행동이 일치할 때, 사람들은 우리를 신뢰하게 되고, 우리의 신뢰도와 존중은 높아질 것입니다. 개인적인 약속이든, 하나님께 드린 서원이든 모든 약속은 책임감 있게 지켜야 합니다.

4. 교회의 협력과 역할 분담

  • 협력과 역할 분담: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는 가축과 가족을 위한 땅을 선택하면서도, 군사적으로 이스라엘 공동체와 함께 싸울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는 공동체 내에서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중요한 예를 보여줍니다.
    • 오늘날의 적용: 교회와 공동체 내에서 우리는 각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재능과 자원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공동체의 성장을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합니다. 우리가 각자에게 맡겨진 책임을 충실히 이행할 때, 전체 공동체는 더욱 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5. 자기희생과 헌신의 중요성

  • 자기희생: 두 지파는 자신의 가족과 가축들을 안전하게 두고 전쟁에 나가는 헌신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들은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편안함과 안정을 포기하고 전쟁에 나갈 것을 선택했습니다.
    • 오늘날의 적용: 우리도 하나님의 사역과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때로는 우리의 편안함과 이익을 포기하는 헌신적인 태도를 배워야 합니다. 우리의 재능, 시간, 자원을 통해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고, 필요한 때에 희생을 기꺼이 감수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6. 합리적인 요청과 타협의 중요성

  • 합리적 요청과 타협: 두 지파는 요단강 동쪽 땅을 요청할 때, 모세와 지도자들과 대화하고 협상하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요청을 합리적으로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자신의 의도를 설명하고, 모세와 합의점을 찾았습니다.
    • 오늘날의 적용: 우리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합리적인 대화를 통해 요청하고, 갈등 상황에서는 타협점을 찾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상호 이해와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결론

민수기 32장은 책임 있는 선택, 공동체에 대한 헌신, 약속의 신실함,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순종, 그리고 합리적 대화와 타협의 중요성을 가르칩니다. 우리는 이 교훈을 통해 신앙과 삶에서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 신실하게 살아가고,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이 장은 우리에게 책임 있는 신앙과 삶의 자세를 배우도록 도전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민수기 33장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