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레위기 11장을 보겠습니다.
여호와께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라. '육지에 사는 모든 짐승 중에서 너희가 먹을 수 있는 생물은 이러하다. 굽이 갈라져 두 갈래로 나뉘어 있으며, 되새김질을 하는 모든 짐승은 너희가 먹을 수 있다. 되새김질을 하거나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서도 너희가 먹지 못할 것은 이러하다. 낙타는 되새김질은 하나, 굽이 갈라지지 않았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다. 바위너구리(사반)는 되새김질은 하지만 발굽이 갈라져 있지 않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다. 토끼도 되새김질은 하지만 발굽이 갈라져 있지 않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다. 돼지는 발굽이 갈라져 두 갈래로 나뉘어 있지만, 되새김질을 하지 않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다. 너희는 이러한 고기를 먹지 말고, 그 사체도 만지지 말라. 이것들은 너희에게 부정하니라.
물에 사는 모든 생물 중에서 너희가 먹을 수 있는 것은 이러하다. 강, 바다, 그리고 다른 물에 사는 생물 중에서 지느러미와 비늘이 있는 것은 너희가 먹을 수 있다. 물에 사는 모든 생물 중에서, 강과 바다에 있는 것들 중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모든 생물은 너희가 먹어서는 안 된다. 이것들은 너희에게 부정한 것이다. 이 생물들은 너희에게 부정한 것이니, 그 고기를 절대 먹지 말고, 그 사체도 부정하게 여겨라. 너희는 이 생물들을 피하고, 그것들을 부정한 것으로 여겨야 한다. 물속에 사는 생물 중에서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것은 모두 너희에게 부정한 것이니, 그것들을 먹지 말고 혐오해야 한다.
너희가 혐오해야 할 새들은 다음과 같다. 이 새들은 부정하니, 절대 먹지 말아라. 독수리, 솔개, 물수리, 솔개 종류, 까마귀 종류, 타조, 타흐마스(혹은 부엉이), 갈매기, 매 종류, 올빼미, 가마우지, 부엉이, 흰 올빼미, 사다새(혹은 물총새), 너새(혹은 펠리컨), 황새, 백로 종류, 따오기, 그리고 박쥐이다.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 다니는 곤충은 너희가 피해야 한다. 하지만 날개가 있고 네 발로 기어 다니는 곤충 중에서, 다리에 뛰는 힘이 있어 땅에서 뛰어다니는 것은 너희가 먹을 수 있다. 그중에서 메뚜기 종류, 베짱이 종류, 귀뚜라미 종류, 그리고 여치 종류는 너희가 먹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에 날개가 있고 기어 다니는 곤충은 모두 너희가 부정하게 여겨야 한다.
이런 곤충들은 너희를 부정하게 만드니, 누구든지 이것들의 사체를 만지면 저녁까지 부정하게 될 것이다. 그 사체를 옮기는 사람은 그 옷을 빨아야 하며, 저녁까지 부정하게 될 것이다.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서도 쪽발이 아니거나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 짐승의 사체는 모두 너희에게 부정하니, 그것을 만지는 자는 부정하게 될 것이다. 네 발로 걷는 모든 짐승 중에서 발바닥으로 걷는 것은 모두 너희에게 부정하니, 그 사체를 만지는 자는 저녁까지 부정하게 될 것이다. 그 사체를 옮기는 자는 그 옷을 빨아야 하며, 저녁까지 부정하게 될 것이다. 그것들은 너희에게 부정한 것이다.
땅에 기는 길짐승 중에서 너희에게 부정한 것은 다음과 같다. 두더지, 쥐, 큰 도마뱀 종류, 도마뱀붙이, 육지 악어, 일반 도마뱀, 사막 도마뱀, 그리고 카멜레온이다. 모든 기어 다니는 생물 중에서 이들은 너희에게 부정하니, 그 사체를 만지는 모든 자는 저녁까지 부정하게 될 것이다. 이런 생물들 중 어떤 것의 사체가 나무 그릇, 의복, 가죽, 자루, 또는 어떤 용도의 그릇에 떨어지면 그 물건은 부정해진다. 그 물건을 물에 담가야 하며, 저녁까지 부정하게 있다가 그 후에 정결해질 것이다. 그것들 중 어떤 것이 토기그릇에 떨어지면,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이 다 부정해질 것이다. 너희는 그 그릇을 깨뜨려야 한다. 먹을 수 있는 물기가 있는 음식이 그 질그릇에 담겨 있었다면, 그 음식도 부정해진다. 그리고 그 질그릇에 담긴 음료도 모두 부정하게 될 것이다. 이런 것들의 사체가 어떤 물건 위에 떨어지면, 그 물건은 모두 부정해진다. 만약 화덕이나 화로에 떨어지면, 그것도 부정해지므로 깨뜨려버려라. 그것은 부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너희에게 부정한 것이 된다.
하지만 샘물이나 고여 있는 웅덩이는 부정해지지 않으며, 그 사체에 닿는 것은 모두 부정해질 것이다. 이것들의 사체가 심을 씨앗에 떨어지더라도, 그 씨앗은 여전히 깨끗하다. 만일 씨앗이 물에 젖어 있을 때 그 사체가 그 위에 떨어지면, 그 씨앗은 부정할 것이다.
너희가 먹을 수 있는 짐승이 죽었을 때, 그 사체를 만지는 사람은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다. 그 죽은 짐승을 먹는 사람은 자기 옷을 빨아야 하며, 그날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다. 그 사체를 옮기는 사람도 자기 옷을 빨아야 하며, 그날 저녁까지 부정할 것이다. 땅에 기어 다니는 모든 길짐승은 부정하니, 먹어서는 안 된다. 땅에 기어 다니는 모든 생물 중에서 배로 기어 다니는 것이나 네 발로 걷는 것, 또는 여러 발을 가진 것은 먹지 말아라. 이것들은 부정한 것이다. 너희는 기어 다니는 생물 때문에 스스로를 부정하게 만들지 말아라. 그것들 때문에 자신을 더럽혀 부정하게 되지 말아라. 나는 여호와 너희의 하나님이다.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몸을 구별하여 거룩하게 하여라. 땅에 기어 다니는 길짐승 때문에 스스로 더럽혀 부정하게 되지 말아라. 나는 너희의 하나님이 되려고 너희를 이집트 땅에서 이끌어 낸 여호와다.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해야 한다.
이것은 짐승, 새, 물에서 움직이는 모든 생물, 그리고 땅에 기는 모든 길짐승에 대한 규칙이다. 이는 부정한 것과 정결한 것, 먹을 수 있는 생물과 먹을 수 없는 생물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까지가 레위기 11장의 내용입니다.
레위기 11장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음식에 관한 규례와 정결법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장을 통해 오늘날 우리가 배울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교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거룩함과 구별됨
레위기 11장은 이스라엘 백성이 다른 민족들과 구별되어 거룩하게 살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오늘날 우리도 세상과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하며, 하나님의 기준에 따라 거룩하게 살아야 합니다. 이는 우리의 행동, 말, 생각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을 의미합니다.
2. 순종과 신뢰
하나님께서 주신 규례를 따르면 건강과 안전이 보장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당시의 음식 규례는 이스라엘 백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것이기도 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고 순종할 때,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을 보호하고 인도하심을 믿어야 합니다.
3. 깨끗함과 정결함
레위기 11장은 정결함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는 단순히 외적인 정결함뿐만 아니라, 내적인 정결함도 포함합니다. 우리는 죄로부터 깨끗해지기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을 의지해야 하며, 성령의 도우심으로 거룩한 삶을 추구해야 합니다.
4. 하나님과의 관계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계시며, 그들을 위한 규례를 주셨습니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오늘날 우리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기도와 말씀을 통해 그분의 인도하심을 받아야 합니다.
5. 영적 분별력
레위기 11장은 무엇이 정결하고 부정한 지를 분별하는 법을 가르쳐줍니다. 이는 우리에게 영적인 분별력이 중요함을 상기시켜 줍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통해 무엇이 선하고 악한지를 분별하며, 성령의 도우심으로 올바른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6. 감사와 경외심
하나님께서 주신 규례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세심한 배려와 사랑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세부적인 규칙까지 주신 것에 대해 감사하며, 그분의 거룩함과 위대함을 경외해야 합니다.
레위기 11장은 이러한 교훈들을 통해 우리에게 하나님의 거룩함, 순종, 정결함, 관계, 분별력, 감사와 경외심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욱 성숙한 신앙인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Bible 레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13장 - 고대 이스라엘의 정결 규례 (1) | 2024.06.30 |
---|---|
레위기 12장 - 아이를 낳은 여인에 대한 규례 (0) | 2024.06.29 |
레위기 10장 - 나답과 아비후의 죽음 (0) | 2024.06.28 |
레위기 9장 - 아론의 첫 제사와 하나님의 임재 (0) | 2024.06.26 |
레위기 8장 - 아론과 그의 아들들의 제사장 위임식 (1) | 202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