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ible 사무엘하

사무엘하 16장 - 다윗을 저주한 시므이, 압살롬을 부추긴 아히도벨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사무엘하 16장을 보겠습니다.

 

 

 다윗이 마루턱을 조금 지나니 므비보셋의 종 시바가 안장을 지운 두 나귀에 떡 200개와 건포도 100송이와 여름 과일 100개와 포도주 한 가죽부대를 싣고 다윗을 맞았습니다. 왕이 시바에게 말했습니다. "네가 무슨 뜻으로 이것을 가져왔느냐?" 시바가 말했습니다. "나귀는 왕의 가족들이 타게 하고, 떡과 과일은 청년들이 먹게 하고, 포도주는 들에서 피곤한 자들에게 마시게 하려 함이니이다." 왕이 말했습니다. "네 주인의 아들이 어디 있느냐?" 시바가 왕께 아뢰었습니다. "예루살렘에 있는데, 그가 말하기를 '이스라엘 사람들이 오늘 내 아버지의 나라를 내게 돌릴 것이다' 하였습니다." 왕이 시바에게 말했습니다. "므비보셋에게 있는 것이 다 네 것이니라." 시바가 말했습니다. "내가 절하나이다. 내 주 왕이여, 내가 왕 앞에서 은혜를 입게 하옵소서."

 

 다윗 왕이 바후림에 이르렀을 때, 거기서 사울의 친족 한 사람이 나왔으니, 그는 게라의 아들이요, 이름은 시므이였습니다. 그가 나오면서 계속하여 저주하고, 다윗과 다윗 왕의 모든 신하들을 향하여 돌을 던졌습니다. 그때 모든 백성과 용사들은 다 왕의 좌우에 있었습니다. 시므이가 저주하는 가운데 이렇게 말했습니다. "피를 흘린 자여, 사악한 자여, 가거라! 가거라! 사울 사람의 모든 피를 여호와께서 네게로 돌리셨도다. 그를 이어서 네가 왕이 되었으나, 여호와께서 나라를 네 아들 압살롬의 손에 넘기셨도다. 보라, 너는 피를 흘린 자이므로 화를 자초하였느니라."

 

 스루야의 아들 아비새가 왕께 여쭈었습니다. "이 죽은 개가 어찌 내 주 왕을 저주하리이까? 청하건대, 내가 건너가서 그의 머리를 베개 하소서." 왕이 말했습니다. "스루야의 아들들아, 내가 너희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 그가 저주하는 것은 여호와께서 그에게 '다윗을 저주하라' 하셨기 때문이다. 네가 어찌 그리하였느냐 할 자가 누구겠느냐?" 그리고 다윗이 아비새와 모든 신하들에게 말했습니다. "내 몸에서 난 아들도 내 생명을 해하려 하거늘, 하물며 이 베냐민 사람이랴! 여호와께서 그에게 명령하신 것이니 그가 저주하게 버려두라. 혹시 여호와께서 나의 원통함을 감찰하시리니, 오늘 그 저주 때문에 여호와께서 선으로 내게 갚아 주시리라." 다윗과 그의 추종자들이 길을 갈 때, 시므이는 산비탈로 따라가면서 저주하고, 그를 향하여 돌을 던지며 먼지를 날렸습니다. 왕과 함께 있는 백성들이 다 피곤하여 한 곳에 이르러 거기서 쉬었습니다.

 

 압살롬과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예루살렘에 이르렀고, 아히도벨도 그와 함께 왔습니다. 다윗의 친구 아렉 사람 후새가 압살롬에게 나아가서 말했습니다. "왕이여, 만세! 왕이여, 만세!" 압살롬이 후새에게 말했습니다. "이것이 네가 친구를 후대하는 것이냐? 네가 어찌하여 네 친구와 함께 가지 아니하였느냐?" 후새가 압살롬에게 말했습니다.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내가 여호와와 이 백성, 모든 이스라엘의 택한 자에게 속하여 그와 함께 있을 것입니다. 또 내가 이제 누구를 섬기리이까?"

 

 압살롬이 아히도벨에게 말했습니다. "너는 어떻게 행할 계략을 우리에게 가르쳐라." 아히도벨이 압살롬에게 말했습니다. "왕의 아버지가 남겨두어 왕궁을 지키게 한 후궁들과 더불어 동침하소서. 그러면 왕께서 왕의 아버지가 미워하는 바 됨을 온 이스라엘이 들을 것이며, 왕과 함께 있는 모든 사람의 힘이 더욱 강하여질 것입니다." 이에 사람들이 압살롬을 위해 옥상에 장막을 쳤고, 압살롬이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그의 아버지의 후궁들과 동침했습니다. 그때 아히도벨이 베푸는 계략은 사람이 하나님께 물어서 받은 말씀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아히도벨의 모든 계략은 다윗에게나 압살롬에게나 그러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여기까지가 사무엘하 16장의 내용입니다.

 

 사무엘하 16장은 다윗이 아들 압살롬의 반역으로 도망가는 과정에서 벌어진 여러 사건들을 다룹니다.
시바의 거짓말과 므비보셋의 배신 논란
시므이의 저주와 다윗의 반응
압살롬과 아히도벨의 계략

이 사건들을 통해 우리는 권력, 거짓, 겸손, 신앙의 태도, 하나님의 공의에 대해 깊이 배울 수 있습니다.

1. 사람의 말을 그대로 믿기 전에 진실을 확인해야 한다 (시바와 므비보셋 사건)

✔ 다윗이 도망가는 길에 므비보셋의 종 시바가 왕을 찾아와 먹을 것을 제공합니다.
✔ 그리고 므비보셋이 다윗을 배신하고 왕위를 차지하려 한다고 고발합니다.
✔ 이에 다윗은 즉시 므비보셋의 모든 재산을 시바에게 넘겨버립니다.
✔ 하지만 나중에 보면 시바의 말이 거짓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오늘날 적용

  • 우리는 어떤 말을 들었을 때, 바로 믿기 전에 신중하게 진실을 확인해야 합니다.
  •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거짓을 말할 수 있습니다.
  • 감정적으로 즉시 결정을 내리기보다, 객관적인 사실을 살펴보고 판단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2. 억울한 저주와 비난 속에서도 겸손함을 유지해야 한다 (시므이의 저주 사건)

✔ 다윗이 도망가는 길에 사울의 친족 시므이가 다윗을 향해 돌을 던지며 저주했습니다.
"너는 피를 흘린 자이니, 네가 자초한 일이다!"
✔ 이에 다윗의 신하가 **"저자를 당장 죽이겠다"**고 하자,
✔ 다윗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일이라면 참겠다"**고 하며 조용히 지나갑니다.

💡 오늘날 적용

  • 우리는 살면서 억울한 비난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 하지만 즉시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 겸손하게 하나님의 뜻을 구해야 합니다.
  • 억울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이 우리의 억울함을 갚아주실 것을 믿고 인내해야 합니다.
  • 비난과 오해를 당할 때, 침착하고 신뢰할 만한 행동으로 진실을 증명해야 합니다.

3. 권력을 얻기 위해 죄를 짓는 자는 결국 심판을 받는다 (압살롬과 아히도벨의 계략)

✔ 압살롬은 왕권을 확고히 하기 위해 아버지 다윗의 후궁들과 공개적으로 동침합니다.
✔ 이는 아히도벨의 계략이었으며, 다윗과 완전히 적이 되었다는 상징적인 행동이었습니다.
✔ 압살롬은 일시적으로 성공했지만, 결국 이 모든 행동이 하나님의 심판을 불러옵니다.

💡 오늘날 적용

  • 성공을 위해 불의한 방법을 선택하면, 결국 하나님이 심판하십니다.
  •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남을 배신하거나 비열한 방법을 쓰는 것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 하나님의 뜻을 따르지 않고 욕심과 교만으로 행하면, 결국 멸망에 이르게 됩니다.

4. 하나님의 뜻을 신뢰하고 기다리는 믿음이 필요하다 (다윗의 태도)

✔ 다윗은 억울한 저주를 받았지만, 하나님께 맡겼습니다.
✔ 다윗은 억지로 자신의 왕위를 되찾으려 하지 않고, 하나님이 인도하시길 기다립니다.
✔ 반면, 압살롬은 조급한 마음으로 모든 것을 자기 방식대로 해결하려 했습니다.

💡 오늘날 적용

  • 하나님의 뜻을 기다리는 믿음이 필요합니다.
  • 억울한 상황에서도 스스로 해결하려 하기보다, 하나님의 공의를 신뢰해야 합니다.
  • 내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결론: 우리가 배워야 할 핵심 교훈

거짓 정보에 속지 말고 진실을 확인하라.
억울한 비난 속에서도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인내하라.
잘못된 방법으로 성공을 얻으려 하지 말라.
하나님의 공의를 믿고 기다려라.

 

 다음 시간에는 사무엘하 17장을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